본문 바로가기

서울시22

서울시 성동구 미혼모.미혼부 냉난방비 지원 사업 알아보기 1. 지원대상 당해년도 한부모가족 복지급여 지급기준에 적합한 성동구 거주 미혼모.미혼부 한부모가족 ※ 중복혜택 안돼요 기초생활수급자 월동대책비 지원대상 제외 2. 지원내용 1월~2월, 7월~8월 / 월별 2만5천원 지원 3. 신청기간 상시 신청 4. 신청방법 해당 서비스는 신청없이 자격대상자에게 자동적으로 제공되나, 관할 동주민센터에 신청하시면 지원이 가능 5. 문의처 여성가족과 (☎02-2286-6838) 2023. 12. 27.
서울시 신축주택 매입임대주택 알아보기 1. 임대기간 최초2년, 2년단위로 재계약 가능, 최장 20년 (신혼부부Ⅱ 최장 10년) 2. 공급주택 다가구주택, 공동주택(다세대주택, 연립주택, 아파트), 주거용 오피스텔 로서 전용면적 85㎡이하 주택 3. 임대조건 보증금+임대료 *주변시세의 30∼50%이내 (신혼부부Ⅱ 80%이내) 4. 유형별 입주대상 1) 일반(다가구, 공공원룸)매입임대주택 2) 청년 매입임대주택 3) 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 ※ 2022 기준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소득 신축주택 매입임대주택 적용 : 1인가구 20%, 2인가구 10% 가산 구분 월평균 소득 50% 월평균 소득 70% 월평균 소득 90% 월평균 소득 100% 월평균 소득 120% 월평균 소득 140% 1인 가구 161만원 225만원 289만원 321.. 2023. 12. 14.
서울시 신혼희망타운 알아보기 1. 공급대상 신혼부부, 예비신혼부부, 한부모가족 2.공급규모 전용 60㎡이하 3. 금융지원 : 신혼희망타운(분양형), 신혼희망타운(임대형) - 분양형 : 연1.3% 고정금리로 최장 30년간 집값의 70%까지 지원 - 임대형 : 최저 연 1.2%로 최장 10년간 임차보증금의 80%까지 지원 4. 입주대상 신혼희망타운(분양형) 구분 내용 기본자격 신혼부부 혼인 기간이 7년 이내 또는 6세 이하의 자녀를 둔 무주택세대구성원 예비신혼부부 혼인을 계획 중이며, 공고일로부터 1년 이내 혼인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자 한부모가족 6세 이하 자녀(태아포함)를 둔 부 또는 모 입주기준 공고일부터 입주할 때까지 무주택 세댁구성원일 것 세부 공통자격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 6개월 경과, 납입인정횟수 6회 이상(청약저축 포함).. 2023. 12. 13.
서울시 긴급주거지원제도 알아보기, 지원대상 위기사유 발생으로 도움이 필요한 서울시민을 위해 생계곤란 등의 위기상황에 처하여 도움이 필요한 분에게 거주할 장소나 거주할 비용을 지원합니다. 1. 지원대상 위기사유의 발생으로 거소제공 또는 주거비지원이 필요한 사람 2. 지원내용 임시거소 제공 또는 거주에 필요한 비용 (원/월) 지역 / 가구 구성원 1~2인 3~4인 5~6인 대도시 387,200 643,200 848,600 ※ 위 지원기준은 상한액이며, 가구구성원이 7인 이상인 경우, 1인 증가시마다 대도시 102,300원, 중소도시 67,000원, 농어촌 38,300원씩 추가 지급 3. 신청방법 - 신청 : 거주지 구청 또는 동주민센터 방문신청 - 문의 : 동주민센터, 구청, 다산콜센터 120 4. 위기사유 - 주소득자(主所得者)가 사망, 가출, 행.. 2023. 12. 11.
서울시 희망 하우징 알아보기, 임대조건, 입주자격 저렴한 임대료를 선호하는 서울소재 대학생을 위해 서울주택도시공사에서 건설한 공공기숙사를 임대보증금 100만원으로 저렴하게 공급하는 대학생 전용 임대주택입니다. ☞ 임대기간 기본계약 2년(입주자격을 유지하는 경우 2회 재계약 가능, 최장 6년) ☞ 공급규모 기숙사형 및 원룸형, 공공기숙사형, 다가구형으로 전용면적 11~33㎡ 이하 (2인 1실 경우 1인 거주 실면적기준) ☞ 임대조건 월임대료 + 보증금 → 최소 58,100원 ~ 최대 133,300원 + 100만원 ☞ 특징 - 저렴한 보증금과 월세 : 임대보증금은, 평형 관계없이 모두 100만원이고 월 임대료는 시중 임대료의 30%로 제한, 휴학 또는 어학연수 등 사정으로 중도 퇴거하더라도 위약금이 없음 - 교통 편의성과 안전성 고려 : 교통이 편리하고 치.. 2023. 12. 8.